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56
한자 李盛夫
영어공식명칭 Lee Sungboo
이칭/별칭 이정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찬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42년연표보기 - 이성부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이성부 『전남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7년 - 이성부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이성부 제15회 『현대문학』 신인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4년 11월 - 이성부 '문학인 101인 선언'에 서명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이성부 제4회 한국문학작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7~ 1999년 - 이성부 『뿌리깊은 나무』 편집주간 재직
활동 시기/일시 2001년 - 이성부 제9회 대산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5년 - 이성부 제15회 편운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7년 - 이성부 제1회 가천환경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10년 - 이성부 제18회 공초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11년 - 이성부 제9회 영랑시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11년 - 이성부 제24회 경희문학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12년연표보기 - 이성부 사망
추모 시기/일시 2013년 - 광주고등학교 내에 '이성부 시비' 건립
출생지 전라남도 광주
묘소 모란공원묘지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경춘로2110번길 8-102[월산리 606-1]
성격 문학가
성별
대표 경력 『일간스포츠』 편집국 부국장|『뿌리깊은 나무』 편집주간

[정의]

광주광역시 출신의 시인.

[개설]

이성부(李盛夫)[1942~2012]는 전라남도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이정(泥丁)이다. 광주사범학교 병설중학교와 광주고등학교를 거쳐 1963년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전라남도 광주 지역에서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문재(文才)를 발휘하였으며, 이후 『이성부 시집』 등의 시집을 발간하였다.

[활동 사항]

중학교 재학 중 학생 문예 잡지 『학원』에 「별」을 발표하였으며, 고등학교 1학년 때인 1957년 7월에는 교지 『광고(光高)』 제14호를 편집하고 후기를 썼다. 1958년 『광고(光高) 시집』[전남일보사인서관]에 「별」과 「이름」을 발표하였다.

1959년 고등학교 재학 중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시 「바람」이 당선되었고, 김범경·오병선·윤재성·이이화·임보 등과 '태광(胎光)'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현대문학』에 시 「소모의 밤」과 「백주」로 김현승의 2회 추천을 받았으며, 1962년 「열차」가 천료(薦了)되어 등단하였다.

1964년에는 강태열, 민재식, 박봉우, 박성룡, 정현웅, 주명영 등과 함께 '영도' 동인으로 활동하며 복간된 『영도』의 제3집과 제4집에 시편을 발표하였다. 1967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우리들의 양식」이 당선되었으며, 김광협·이탄·최하림·권오운 등과 '시학회' 동인으로 사화집(詞華集)인 『시학』[성문각]을 출간하였다. 1968년에는 '68문학' 동인으로 이청준, 홍성원, 김화영, 정현종, 최하림, 김병익, 김치수, 김현, 염무웅 등과 함께 창간호이자 종간호인 『68문학』[한명출판사]을 발간하였다.

1969년 첫 시집 『이성부 시집』을 출간하였다. 같은 해 『한국일보』 기자로 입사하여 『일간스포츠』 기자와 생활부장, 사회부장, 문예부장, 편집국 부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뿌리깊은 나무』 편집주간으로 재직하기도 하였다.

1974년 11월 문인들의 반유신 운동인 '문학인 101인 선언'에 서명하며,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창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1980년에는 월간 문예지 『한국문학』 창간 7주년을 맞아 문인 200인이 발표한 '한국 문학 선언'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1977년 『백제행』과 1981년 『전야(前夜)』를 출간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그렇지만 이후 7년여 동안 작품을 발표하지 못하다가 1989년에야 『빈 산(山) 뒤에 두고』를 출간하였다. 2000년에는 백두대간을 종주하며 발표한 시편들을 모아 '내가 걷는 백두대간'이라는 부제를 단 시집 『지리산』을 출간하였다. 2010년 『도둑 산길』을 출간하였으며, 2012년 2월 간암으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이성부는 열두 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1969년 제1시집 『이성부 시집』[시인사], 1977년 제2시집 『백제행』[창작과비평사], 1981년 제3시집 『전야(前夜)』[창작과비평사], 1989년 제4시집 『빈 산(山) 뒤에 두고』[풀빛], 1990년 제5시집 『산에 내 몸을 비벼』[문학세계사], 1996년 제7시집 『야간산행』[창작과비평사], 1999년 제8시집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찾을모], 2001년 제9시집 『지리산』[창작과비평사], 2004년 제10시집 『남겨진 것은 희망이다』[시선사], 2005년 제11시집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창비], 2010년 제12시집 『도둑 산길』[책만드는집]이 있다.

이 밖에도 시선집으로 1974년 『우리들의 양식』[민음사], 1982년 『평야』[지식산업사], 1991년 『깨끗한 나라』[미래사], 1998년 『저 바위도 입을 열어』[나남출판], 2001년 『너를 보내고』[책만드는집] 등이 있다. 산문집으로 2002년 『산길: 시인의 산사랑 이야기』[수문출판사]가 있다.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월산리 모란공원묘지에 있다.

[상훈과 추모]

이성부는 1969년 제15회 『현대문학』 신인문학상, 1977년 제4회 한국문학작가상, 2001년 제9회 대산문학상, 2005년 제15회 편운문학상, 2007년 제1회 가천환경문학상, 2010년 제18회 공초문학상, 2011년 제9회 영랑시문학상, 2011년 제24회 경희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2013년 광주광역시 동구 광주고등학교 내에 「무등산」이 새겨진 '이성부 시비'가 건립되었으며,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 목포해양대학교 내 해양시비공원에 「바다」가 새겨진 시비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