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카딩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2006
영어공식명칭 Herbert Augustus Codington
이칭/별칭 고허번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집필자 양라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0년연표보기 - 카딩턴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1~1944년 - 카딩턴 코넬대학교 의학부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47~1948년 - 카딩턴 유니언신학교 신학 전공
활동 시기/일시 1949년 - 카딩턴 목포프렌치병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51~1966년 - 카딩턴 광주기독병원 제5대 원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74~1999년 - 카딩턴 방글라데시에서 의료 선교 활동
몰년 시기/일시 2003년연표보기 - 카딩턴 사망
출생지 월밍턴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학교|수학지 코넬대학교 의학부 - 미국 뉴욕주
학교|수학지 유니언신학교 - 미국 버지니아주
활동지 목포프렌치병원 - 전라남도 목포시
활동지 광주기독병원 - 광주광역시 남구 양림로 37[양림동 264]지도보기
성격 선교사
성별
대표 경력 광주기독병원 제5대 원장

[정의]

광주기독병원 제5대 원장으로 결핵 퇴치를 위해 헌신하였던 미국 출신의 의료 선교사.

[개설]

카딩턴(Herbert Augustus Codington)[고허번]은 미국 뉴욕주 코넬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하고, 버지니아주 리치먼드시에 있는 유니언신학교에서 신학을 전공하였다. 1949년 미국 남장로교에서 한국에 파송(派送)되어 목포프렌치병원에 부임하여 활동하다가, 1951년 광주제중병원[지금의 광주기독병원]이 개원하면서 제5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1966년까지 광주제중병원장을 역임하였고, 1967년부터 1974년까지 결핵과 과장으로 있으면서 결핵 퇴치를 위해 헌신하여 '결핵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1974년 방글라데시 사역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을 떠나 1999년까지 의료 선교사로 헌신하였다.

[활동 사항]

1949년 의료 선교사로 파송되어 목포프렌치병원에 부임하였다. 카딩턴은 결핵 환자 치료를 위해 방사선 엑스레이를 구해 들여와 국내 최초로 엑스레이 치료를 실시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폐쇄되었던 제중원이 1951년 광주제중병원으로 다시 개원하면서 원장에 취임하였고, 1966년까지 원장을 역임하며 의료 활동을 펼쳤다. 1967년부터 1974년까지 광주기독병원[1970년 개칭] 결핵과 과장을 역임하며 결핵 퇴치를 위한 의료 활동에 전념하였다. 1974년 한국보다 더 열악한 방글라데시 다카(Dhaka)의 통기(Tongki) 진료소, 텔레구(Telegu) 진료소 등지에서 콜레라, 결핵, 한센병 환자를 돌보며 헌신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