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973
한자 朴之孝
영어공식명칭 Park Jihyo
이칭/별칭 자경(子敬),오류(五柳)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박미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592년 11월 24일 - 박지효 남평현감 서리(署理)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27년 - 박지효 모병유사(募兵有司) 부임
출생지 서창(西倉) -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지도보기
성격 의병
성별
대표 경력 남평현감 서리(署理)|사복시정(司僕寺正)|모병유사(募兵有司)

[정의]

조선시대 임진왜란·정묘호란 당시 활동한 전라도 광주 출신 의병.

[가계]

박지효(朴之孝)[?~?]의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자경(子敬), 호는 오류(五柳)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증좌찬성(贈左贊成) 박지흥(朴智興)이고, 아버지는 만호(萬戶) 박대수(朴大壽)이다.

[활동 사항]

박지효는 광산 서창(西倉)[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에서 태어났으며, 고봉(高峰) 기대승(奇大升)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음직(蔭職)으로 감찰(監察)을 제수받았다. 임진왜란 당시에 고경명과 함께 거의(擧義)할 것을 약속했으나 고경명박지효의 늙은 부모를 걱정하여 만류하였다. 때마침 남평(南平)현감 한순(韓楯)이 군대를 거느리고 전라도 광주에 이르렀다가 적에게 죽임을 당하여 남평을 지킬 수 없게 되자 선비들이 박지효를 감사 이시백(李時白)에게 천거하여 1592년 11월 24일부터 임시로 남평현감을 맡아 서리(署理)하게 되어 홍민언(洪民彦)과 함께 병량을 모으고 남평을 지켰다. 난이 진정된 이후에도 1594년 1월 5일까지 남평현감으로 재임하였고, 얼마 후 사복시정(司僕寺正)의 관직에 이르렀다.

박지효는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호소사(號召使)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부름을 받아 75세의 나이로 모병유사(募兵有司)가 되어 의병을 모집하여 전주로 이동하였고, 당시 전주에 피란 중인 세자를 여산(礪山)까지 호송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