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922
한자 朴尙玄
영어공식명칭 Park Sanghyun
이칭/별칭 경초(景初),우헌(寓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29년 5월 9일연표보기 - 박상현 출생
몰년 시기/일시 1693년 1월 12일연표보기 - 박상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714년 - 박상현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추증
사당|배향지 진천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동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본관 순천(順天)
대표 관직|경력 사헌부장령

[정의]

조선 후기 전라도 광주 출신의 문인.

[가계]

박상현(朴尙玄)[1629~1693]의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경초(景初), 호는 우헌(寓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언침(朴彥琛)이며, 할아버지는 박진정(朴震挺)이다. 아버지는 박수림(朴遂林)이고, 어머니는 이사숙(李思淑)의 딸 봉산이씨(鳳山李氏)이다. 부인은 고부민(高傳敏)의 딸 장택고씨(長澤高氏)로, 슬하에 박광일(朴光一), 박광원(朴光元), 박광선(朴光善) 등 3남 4녀를 낳았다.

[활동 사항]

박상현은 1629년(인조 7) 5월 9일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성품이 고상하고 깨끗하였으며 경서에 능통하였다. 15세에 부친상을 당하였는데 3년 동안 채소와 국을 먹지 않았으며, 제사를 올릴 때나 상식(上食)할 때 정성과 공경을 다하였다. 『태극도설(太極圖說)』, 『통서(通書)』, 『황극경세(皇極經世)』, 『역학계몽(易學啓蒙)』 등의 성리서를 깊이 연구하였고, 「음양소장도(陰陽消長圖)」를 저술하였다. 청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를 숭배하는 데 철저하여 병자호란·정묘호란이 끝난 뒤 책력(冊曆) 속 청나라 연호를 모두 지워버렸다. 아들 박광일을 송시열에게 보내 공부하게 하였고, 자신도 송시열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모년지기(暮年知己)’가 되었다. 1685년(숙종 11)에 어사(御史) 김만길(金萬吉)이 박상현, 박광일 부자의 행적(行績)을 조정에 알렸다. 1693년 1월 12일 65세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박상현의 저술로는 1898년 후손 박태동(朴泰東)·박협동(朴協東) 등이 간행한 박상현의 문집인 『우헌집(寓軒集)』이 있다. 『우헌집』에는 「음양소장도」 및 송시열과 주고받은 편지 등이 실려 있으며, 규장각 도서 등에 소장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박상현은 1714년(숙종 40)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에 추증되었고, 이후 전라도 광주에 있었던 진천사(眞泉祠)에 배향되었다. 진천사박상현을 비롯해 박석명(朴錫命), 박창우(朴昌禹), 박충정(朴忠挺), 박영림(朴榮林), 박광후(朴光後), 박치도(朴致道), 박광일, 박중회(朴重繪), 민사하(閔師夏) 등을 배향하였는데, 1868년 서원 철폐령에 따라 철폐되었다. 지금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동에 진천사유허비(眞泉詞遺墟碑)가 남아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