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901
한자 鄭大休
영어공식명칭 Jeong Daehyu
이칭/별칭 경명(經明),회헌(悔軒)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바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몰년 시기/일시 1592년연표보기 - 정대휴 사망
묘소|단소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12~산17번지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광주(光州)
대표 관직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

[정의]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출신의 문신.

[가계]

정대휴(鄭大休)[?~1592]의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경명(經明), 호는 회헌(悔軒)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윤적(鄭允績), 할아버지는 정만종(鄭萬鍾)이다. 아버지는 정함(鄭涵)이다. 부인은 부사(府使) 이곡기(李鵠基)의 딸 성주이씨(星州李氏)이다.

[활동 사항]

정대휴는 전라도 광주 출신으로,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경기전참봉(慶基殿參奉)으로서 의병을 일으켰다가 순절하였다. 정대휴는 1590년 6월에 김성원(金成遠)[1525~1597] 외 여러 유생들과 식영정(息影亭)에 모여 시문을 지으며 즐겼다. 김성원의 문집 『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탁열도제현목록(濯熱圖諸賢目錄)’에 이때 모였던 인물들의 호·이름·자·본관 정보가 정리되어 있다. 정대휴김성원 외에도 김복억(金福億)‚ 이부륜(金富倫)‚ 최경회(崔慶會)‚ 오운(吳澐)‚ 양자징(梁子渟)‚ 정암수(丁巖壽)‚ 김사노(金師魯)‚ 김영휘(金永暉)‚ 임회(林檜) 등 당대 광주 지역의 다양한 문인들과 교유하였다.

[묘소]

정대휴의 묘소는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산12~산17번지에 있다. 부인 성주이씨와 쌍묘로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