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42
한자 奇禹鉉
영어공식명칭 Gi Woohyeon
이칭/별칭 명로(明老),기경현(奇慶鉉)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14년연표보기 - 기우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50년 - 기우현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861년 - 기우현 동지삼사(冬至三使)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64년 - 기우현 홍문관부교리(弘文館副校理)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65년 - 기우현 홍문관집의(弘文館執義)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67년 - 기우현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70년 - 기우현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 임명
성격 문관
성별
본관 행주(幸州)
대표 관직 교리(校理)|집의(執義)|동부승지(同副承旨)

[정의]

조선 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교리, 집의, 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기우현(奇禹鉉)[1814~?]의 본관은 행주(幸州)이며, 자는 명로(明老)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교리(校理)를 지낸 기학경(奇學敬)이고, 할아버지는 기상이(奇象頤), 아버지는 기정국(奇廷國)이다. 부인은 김경찬(金敬粲)의 딸이다. 부인 김씨와의 사이에 아들 기동순(奇東純)과 기동규(奇東奎)를 두었다.

[활동 사항]

기우현은 1814년(순조 14)에 태어났으며, 37세가 되던 1850년(철종 1)에 증광시에서 병과 19위[전체 29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 시험은 철종이 즉위한 것을 기념하여 창경궁(昌慶宮) 춘당대(春塘臺)에서 치러졌는데, 방목에는 ‘유학(幼學) 기경현(奇慶鉉)’이라 되어 있고 오른쪽에 아주 작은 글씨로 ‘개명(改名) 우현(禹鉉)’이라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철종 1년의 증광시에는 ‘기경현’이라는 이름으로 응시하였고, 이후에 ‘기우현’으로 개명한 것을 알 수 있다.

기우현은 과거 급제 후 1861년(철종 12) 동지삼사(冬至三使)에 임명되었으며 3년 뒤인 1864년(고종 1)에 부교리(副校理)에 발탁되어 홍문관(弘文館)에서 활동하였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 각종 자료에 의하면 기우현은 홍문관에서 줄곧 관직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고종실록(高宗實錄)』에서 기우현이 부교리와 집의(執義)로 활동한 기록이 확인되며, 이보다 앞 시기인 철종 대에는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사은사(謝恩使) 업무를 수행한 사실도 확인된다. 이후에도 홍문관집의(弘文館執義), 부수찬(副修撰) 등을 지냈다. 기우현의 사망 시기는 알 수 없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