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820
한자 高成厚
영어공식명칭 Go Seonghoo
이칭/별칭 여관(汝寬),죽촌(竹村)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홍창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49년연표보기 - 고성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83년 - 고성후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84년 - 고성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87년 - 고성후 전중어사(殿中御使)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89년 - 고성후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93년 - 고성후 행주대첩 참전
활동 시기/일시 1601년 - 고성후 선산현감(善山縣監)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02년연표보기 - 고성후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04년 - 고성후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녹훈
추모 시기/일시 1609년 - 고성후 예조참의(禮曹參議) 증직
성격 문관|의병장
성별
본관 장흥(長興)
대표 관직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정의]

조선 전·후기 광주 지역 출신으로 사헌부감찰, 승문원정자, 군기시판관 등을 지낸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

[가계]

고성후(高成厚)[1549~1602]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여관(汝寬), 호는 죽촌(竹村)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지낸 고운(高雲), 할아버지는 고중영(高仲英)이며,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고경조(高敬祖)이다.

[활동 사항]

고성후는 1549년(명종 4) 광주 지역 압보촌에서 태어났으며,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에서 병과 8위를 차지하여 문과에 급제하였다. 고성후는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에 임명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1584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1587년 전중어사(殿中御使), 1589년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등을 차례로 역임하며 선조 대에 활약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고성후는 종부(從夫) 고경명의 의병군에 들어가 군량 수송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금산전투에서 고경명이 사망하였다는 소식을 접하자 당시 광주목사(光州牧使) 권율(權慄)의 휘하로 합류하였고, 1593년(선조 26) 행주대첩에 참전하여 대승을 거두는 데 일조하였다. 1601년(선조 34) 선산현감(善山縣監)을 끝으로 관직 생활을 마친 고성후는 이듬해인 1602년(선조 35)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죽촌집(竹村集)』은 전체 1권 1책으로 이루어진 고성후의 문집이다. 고성후의 작품을 비롯하여 당대에 고성후를 언급한 글들, 고성후의 연보·행장·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고성후 개인사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 호남 의병의 활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상훈과 추모]

고성후는 1604년(선조 37)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고, 1609년(광해군 1)에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증직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