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749
한자 李弘吉
영어공식명칭 Lee Honggil
이칭/별칭 이계방(李桂芳),퇴은(退隱)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문다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24년연표보기 - 이홍길 출생
몰년 시기/일시 1406년연표보기 - 이홍길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74년 - 이홍길 신도비 건립
사당|배향지 이홍길 신도비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영모각
성격 문관
성별
본관 광산
대표 관직 밀직제학|봉익대부 개성윤

[정의]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광주 지역 출신으로 밀직제학, 봉익대부 개성윤을 역임한 문신.

[가계]

이홍길(李弘吉)[1324~1406]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초명은 이계방(李桂芳)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각(李慤), 할아버지는 이순백(李珣白), 아버지는 이기(李奇)이다. 동생은 이계분(李桂芬)이고 손자는 조선 전기에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호조참판(戶曹參判),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역임한 이선제(李先齊)이다.

[활동 사항]

이홍길의 출생과 사망, 활동에 관한 내용은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이선제묘지(李先齊墓誌)」에 따르면 이홍길은 봉익대부 개성윤(奉翊大夫開城尹)에 올랐던 것으로 확인된다. 『광산이씨족보(光山李氏族譜)』, 『여지도서(輿地圖書)』, 『광주읍지(光州邑誌)』에 따르면 이홍길은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역임한 기록도 확인된다.

1974년에 세워진 이홍길신도비(李弘吉神道碑)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홍길은 1324년(충숙왕 11)에 출생하여 1406년(태종 6)에 사망하였다. 그리고 이홍길은 정몽주(鄭夢周)[1337~1392]의 문인으로 있다가 공양왕 때 급제하여 상호군(上護軍)이 되었으며 위화도회군 이후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으며, 이후 조선시대에 가선대부 예조참판(嘉善大夫禮曹參判)으로 증직되었다.

[상훈과 추모]

1974년에 이홍길신도비가 세워졌으며, 비문은 대한제국 시기에 장례원경을 등을 역임한 조종필(趙鐘弼)[1840~?]로부터 받아 작성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