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1054
한자 訥齋集木版刻
영어공식명칭 Woodblock of Nuljaejip.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조한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547년연표보기 - 눌재집목판각 초간
제작 시기/일시 1684~1694년 - 눌재집목판각 중간
보수|복원 시기/일시 1795년 - 눌재집목판각 중간
보수|복원 시기/일시 1843년 - 눌재집목판각 중간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1월 15일연표보기 - 눌재집목판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지정
현 소장처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 48-25[용봉동 1004-4]지도보기
원소재지 송호영당 -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46번길 46[소촌동 364-1]지도보기
성격 목판
재질 목제
크기(높이,길이,너비) 34㎝[길이]|20㎝[너비]|4㎝[두께]
관리자 광주역사민속박물관
문화재 지정 번호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6호

[정의]

광주광역시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있는 조선 시대 문신 눌재 박상의 문집인 『눌재집(訥齋集)』을 발행하기 위한 만든 목판.

[개설]

눌재집목판각(訥齋集木版刻)은 1547년(명종 2) 임억령(林億齡)[1486~1568]이 처음으로 목판을 만들었으며, 1684년(숙종 20) 이사명(李師命)[1647~1689]이 다시 판각을 시작하여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중단되었다가, 1694년(숙종 20) 최규서(崔奎瑞)[1650~1734]가 완성하였다. 이후 1795년(정조 19) 서정수(徐鼎修)가 보수 중간하였고, 1843년(헌종 9)에 조철영(趙徹永)[1777~1853]이 다시 중간하였다. 처음에는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의 고향인 전라도 광주 절골마을[지금의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의 송호영당에 있었으나, 1728년 송호영당을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으로 옮기면서 같이 옮겨졌으며, 지금은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0년 11월 15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형태]

눌재집목판각의 크기는 길이 34㎝, 너비 20㎝, 두께 4㎝ 내외이다. 총 370장이며, 양면으로 판각되어 있다. 1판에 4면을 인쇄할 수 있다.

[특징]

눌재집목판각은 총 18편이 있으며, 박상의 시(詩), 부(賦), 서(序), 기(記), 발(跋), 제문(祭文), 문(文)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판각은 총 12권으로 『눌재집원집(訥齋集原集)』7권, 『눌재집속집(訥齋集續集)』5권이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 전라도 광주 지역 유학자의 행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조선 후기 목판 제조술과 인쇄술의 변천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광역시(전남대학교박물관, 2004)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http://www.gjsgcc.or.kr)
  •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