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해동여지도』 「광주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64
한자 海東輿地圖光州地圖
영어공식명칭 Haedongyeojido Gwangju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세기 말 - 『해동여지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8년 12월 22일연표보기 - 『해동여지도』 보물 제1593호 지정
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 60-1]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 지정 번호 보물 제1593호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에 수록된 전라도 광주목(光州牧)의 지도.

[개설]

18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동여지도』는 건(乾)·곤(坤)·보(補)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3책 중 광주목은 건(乾) 「전라도」에 수록되어 있다. 『해동여지도』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 중이며, 2008년 보물 제1593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조선 후기 제작된 『해동여지도』의 형태는 군현 지도집으로 각 책의 크기는 가로 34㎝, 세로 22.3㎝이다. 건(乾) 책에 전라도 광주가 수록되어 있다. 방안 외곽에 표시된 서106~109, 남49~51이라는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징]

『해동여지도』는 신경준의 고을 지도책을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편집한 계통이다. ‘우리나라(海東)의 지도(輿地圖)’라는 뜻이다. 이 계통 최초의 원본은 1776~1787년 사이에 편집된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해동여지도』[3책]는 1800년 이후의 필사본이다. 광주광역시는 동쪽으로는 창평과 화순, 서쪽으로는 나주, 남쪽으로는 화순과 남평, 북쪽으로는 장성과 경계를 이룬다. 산으로는 무등산, 금당산, 장원봉 등이 표기되어 있으며, 하천으로는 칠천, 황룡천이 광주목의 왼쪽에 표기되어 있다. 우치면 등 면이 30여 개 있다. 사찰은 양림사, 서원은 의열사가 있다. 경양방죽은 노란 원으로 표기, 창고인 동창과 남창은 집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신경준의 고을지도책을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최종적으로 편집한 계통의 완질본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