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영산강종합개발계획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00
한자 榮山江綜合開發計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일례

[정의]

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하여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실시된 영산강 유역 종합 개발 사업.

[내용]

영산강종합개발계획은 유신 체제의 제3차 5개년 계획에 따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4대강 유역 개발 사업과 대단위 농업 종합 개발 사업의 하나로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실시되었다. 해당 사업으로 수해와 한해의 상습지인 영산강 유역에 장성호(長城湖), 담양호(潭陽湖), 광주호(光州湖), 나주호(羅州湖) 등 4대 호가 건설되었다. 또한 영산강 유역 개발로 서남해안의 간척지를 포함 총 12만 6000㏊에 달하는 면적에 대한 용수 개발과 관개, 배수 및 농지 기반을 조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영산강 유역 개발로 농업 생산 기반의 조성과 농가 소득의 증대, 농촌 생활 환경의 개선, 유통 구조의 개선, 국토 이용 사업 등을 병행하여 전라남도 내의 농업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유신 정권의 농업 정책과 농촌 개발은 주로 외국 자본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개발비용의 대부분을 농민들에게 전가시켰다. 게다가 독점자본의 이윤을 보장해주는 비료, 농약의 과도한 사용과 농기계를 보급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농가의 부채 누적으로 인해 농민들의 희생이 막대하였다는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