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광주청년동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772
한자 光州靑年同盟
영어공식명칭 Gwangju youth un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손영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7년 11월 26일연표보기 - 광주청년동맹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28년 8월 이후연표보기 - 광주청년동맹 해체
최초 설립지 광주청년동맹 - 광주광역시
성격 항일운동 단체
설립자 광주청년연맹 집행위원회

[정의]

1927년 11월 26일 광주광역시에서 결성된 청년 운동 연합체.

[개설]

1927년 제 3차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함께 사회주의 인식은 더욱 팽창되었고, 시대를 변혁하는 주체로서 상정된 대상은 특정 노동자 계급만이 아니라 대중으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인식 하에 청년운동이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으며 1927년에 청년단체의 연합조직인 광주청년동맹이 창립되었다.

[설립 목적]

1920년대 다양한 청년단체가 결성되면서 이를 통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조직을 정치화하려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어 설립되었다.

[변천]

광주청년동맹은 1927년 광주 지역에서 청년단체의 연합조직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결성된 단체이다. 1928년 조선공산당 탄압사건으로 활동 인사들이 검거되면서 조직이 와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광주청년동맹은 경쟁 관계였던 광주청년회 및 종교적 청년단체들이 가입하여 통일적 조직으로 출범하였다. 광주를 비롯해 전라남도의 함평, 영광, 강진 등 여러 군에서도 청년동맹이 결성되었고, 기존 청년회는 자진 해산하여 자연스럽게 흡수되었다.

광주청년동맹은 면에 지부를 설치하려 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간부들은 당과 공청, 전청련, 신간회 등에서 활동했지만 광주청년동맹 자체의 독자적인 사업의 성과는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광주청년동맹 간부인 강해석장석천이 ‘독서회 중앙본부’에 참여한 것으로 보아, 청년·학생 등의 의식화 교육 및 일상적 투쟁을 지도하는 형식으로 활동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광주청년동맹은 민족협동전선을 표방한 신간회와 연대하는 등 통일적 청년운동을 전개했지만, 지도부의 분열, 분파투쟁 등으로 뚜렷한 활동을 하지 못한 점이 한계로 남는다. 결국 1928년 2월부터 시작된 제 3차에서 4차에 이르는 조선공산당 탄압사건으로 활동 인사들은 검거되었고, 조직은 붕괴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