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입술망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90
영어공식명칭 Small magenta plant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Peristrophe japonica (Thunb.) Bremek.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피자식물문〉쌍자엽식물강〉합판화아강〉통꽃식물목〉쥐꼬리망초과
원산지 한국|중국|일본
높이 20~50㎝
개화기 8월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과 인근 화순군의 일부 지역에서만 관찰되는 쥐꼬리망초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설]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입술망초는 무등산국립공원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분포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다.

[형태]

입술망초는 식물체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20~50㎝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사각형으로 4~5개의 능선이 있고, 잎은 달걀모양이며,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길이 2~10㎝, 너비 1~2㎝이다.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길이 2㎝ 정도로 입술모양으로 열린다. 윗꽃잎은 둥근 모양으로 위로 굽으며, 아래꽃잎은 긴 타원형 모양으로 아래쪽으로 굽는다. 1개의 암술과 2개의 수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다. 쥐꼬리망초와 구분할 때 입술망초는 쥐꼬리망초에 비하여 꽃받침잎은 꽃부리보다 길고 윗꽃잎은 아래꽃잎보다 길거나 비숫하다는 특징이 있다.

[생태]

입술망초는 무등산국립공원의 계곡과 접한 산기슭 양지쪽이나 습기가 있는 비옥한 땅에서 잘 자란다.

[참고문헌]
  • 이창복, 『원색 대한식물도감』(향문사, 2003)
  • 홍행화 외, 「무등산 지역의 식물상」(『환경생물학회지』 31-2, 한국환경생물학회, 1993)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https://species.nibr.go.kr)
  • 무등산웹생태박물관-식물상(http://www.mudeung.org)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