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깽깽이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686
영어공식명칭 Chinese Twinleaf
이칭/별칭 황련,조선황련,산련풀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행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피자식물문〉쌍떡잎식물강〉이판화아강〉미나리아재비목〉매자나무과
원산지 한국|중국
높이 약 25㎝
개화기 4~5월
결실기 7월

[정의]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에 자생하는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개설]

깽깽이풀은 2021년 현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며, 적색목록의 준위협종으로 자생지 및 개체의 보존이 요구되는 식물이다.

[형태]

깽깽이풀은 짧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땅 위 줄기는 없다. 꽃은 꽃대 끝에 1개씩 달리며 잎보다 먼저 나온다. 엷은 자홍색의 꽃잎은 6~8장으로 꽃받침조각은 4개, 1개의 암술과 8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골돌로서 끝이 부리처럼 길게 자라며, 결실기는 7월로 흑색의 타원형 종자가 만들어진다.

[생태]

깽깽이풀은 무등산국립공원의 북쪽으로 열린 완만한 경사면의 보습성이 높고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의 반그늘에서 자라고 있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깽깽이풀은 잎과 꽃의 관상 가치가 뛰어나 화단 식재용 등의 관상식물로 가치가 높은 주요 식물 자원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생지 훼손도 심하다. 환경부의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되다가 해제되었다.

[참고문헌]
  • 홍행화 외, 「무등산 지역의 식물상」(『환경생물학회지』 31-2, 한국환경생물학회, 1993)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 지식정보시스템(http://www.nature.go.kr)
  •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https://species.nibr.go.kr)
  • 무등산웹생태박물관-식물상(http://www.mudeung.org)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