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339
한자 湖南線
영어공식명칭 Honam Line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윤희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준공 시기/일시 1914년 1월 11일연표보기 - 호남선 전 구간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3월 - 호남선 대전~익산 구간 복선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80년 10월 - 호남선 익산~광주송정 구간 복선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12월 - 호남선 광주송정~목포 구간 복선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4년 4월 - 호남선 고속열차 개통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15년 4월 - 호남고속선 개통
성격 철도
면적 252.5㎞[영업 거리]|1,435㎜[궤간]|복선[차선]

[정의]

광주광역시에 있는 경부선 대전조차장역과 목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

[개설]

광무 연간[1897~1906]의 대한제국 정부는 서울에서 목포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수원에서 천안, 대전을 거쳐 영남으로 향하는 경부선 철도의 부설권이 일본 제국 측에 넘어가 독자적인 간선 철도 부설에 실패하였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주관하에 경부선의 지선 형식으로 호남선이 1914년 전 구간 개통되었다.

[건립 경위]

1910년 1월에 대전~연산 간 9.54㎞의 공사 구간을 비롯하여 8개 공사 구간을 설정하였다. 군산과 강경 간 12.25㎞의 공사 구간을 1911년 3월에 착공하여 1912년 3월 6일 완공하였고, 김제와 이리[현 익산] 간 4.36㎞의 철길을 1911년 12월에 착공, 1912년 10월 1일에 완공 개통하였다. 1914년 1월 11일 전라북도 정읍과 전라남도 광주송정 간 13.94㎞의 공사 구간을 끝으로, 대전과 목포 간 호남선 철도 부설 공사를 완료하였다. 호남선 공사의 궤도 연장거리는 77.88㎞이며, 그 사이에 터널 9개소, 교량이 193개소, 구교가 286개소인데, 경부선과 연결역인 대전역을 개축 확장한 것 외에 27개소의 역사를 설치하였다. 조선총독부는 한일병합 후 단기간에 호남선 철로를 완공하였는데, 호남평야 등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송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당시 호남선은 대전역에서 경부선 김천, 부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변천]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호남선 복선화는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익산 구간이 1978년, 익산~정읍 구간은 1980년 1월, 정읍~장성 구간은 1980년 9월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0년에 10월에 이르러서야 광주 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송정리[현재의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송정리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1년 12월, 임성리~목포 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한편 익산~목포 구간은 복선화와 함께 선형 개량도 시행되었는데, 특히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선형 개량은 상당히 큰 폭으로 이루어졌다.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호남선 전철화가 완료되어 경부선 및 경부고속선과 직결 운행하는 고속열차가 호남선에도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동시에 기점이 대전역에서 대전조차장역으로 변경되었고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호남고속열차는 기존선을 운행하는 데다가 특히 서대전~논산 구간의 선형이 불량하여 경부고속철도보다 소요 시간이 오래 걸렸고, 지역 차별이라는 불만까지 발생하였다. 이는 호남고속선 건설 추진의 한 원인이기도 하다. 그리고 2000년 5월 15일에 착공하였던 장항선의 장항~군산~대야 구간이 완공, 연장됨에 따라 2008년 1월 1일부터 용산역을 출발하여 장항을 경유하는 장항선 무궁화호 열차의 일부는 서대전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이 운행 계통은 2016년 12월 9일부터 종착역이 익산역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4월 2일에 호남고속선이 개통되었다.

[구성]

영업 거리 : 252.5㎞궤간 : 1,435㎜선로 수 : 2[전 구간]전철화 : 가공전차선교류 : 25,000볼트 60㎐신호 방식 : ATS

[현황]

2017년 1월 2일,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 구간[광주송정~목포] 중 호남선 광주송정~고막원 구간을 고속화하는 사업에 착수하였고, 해당 구간의 최대 시속이 160㎞/h에서 230㎞/h로 향상되었다. 증속이 되면서 소요 시간이 13분에서 10분으로 3분 단축되었다. 노선 번호는 304이다. 2019년 6월, 호남선 광주송정~고막원 구간을 고속화하는 사업이 완료되어 해당 구간을 경유하는 열차의 운행시간표가 변경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시간표 개정에 따라 야간열차가 모두 폐지되었다. 호남선의 광주광역시 영역 내에는 철도역으로 광주송정역, 하남역, 임곡역이 있다. 광주송정역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호남선의 철도역이자 경전선의 종점이다. 역 인근 광주도시철도1호선 광주송정역과도 연결되는 광주의 중심 교통축이다. 광주송정역과 달리, 교통 물류 체계의 변화에 따라 하남역임곡역은 여객 취급은 더이상 하지 않으며, 하남역에서는 화물 취급을 하고 있다. 하남역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동에 있으며, 인근 하남산업단지 내에 있는 GS칼텍스 저유고로 수송하는 유류 화물을 주로 취급하고 있다. 역명은 당시의 행정구역명이었던 하남면에서 온 것이다. 임곡역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에 있으며 역 구내에 컨테이너 야드가 있으나, 2015년부터 화물 취급을 중지하였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3.03.13 띄어쓰기 [현황] 띄어쓰기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